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정보

부동산 세금알기 : 취득세 (인지세, 상속세, 증여세, 취득세)

by 다아있소 2022. 2. 21.
반응형

 

안녕하세요! 부린이찌입니다. 

지난시간부터 부동산 관련한 세금에 대한 정보를 드리고 있는데요, 오늘 설명드릴 취득세 관련한 정보를 드리기에 앞서 먼저 부동산 관련 세금의 종류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산 관련 세금의 종류 

우선 부동산 세금은 크게 세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해볼 수 있습니다: ①취득할 때, ②보유할 때, ③처분할 때

그리고 이번 시간에는 빨간 테투리 영역의 부동산 취득 시 내야하는 세금들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부동산을 처분할 때 내야하는 세금인 '양도소득세'에 대하여는 지난 포스팅(아래 링크)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2022.02.20 - [부동산 상식] - 부동산 세금알기 : 양도소득세 (양도세 계산방법, 비과세 조건)

 

부동산 세금알기 : 양도소득세 (양도세 계산방법, 비과세 조건)

안녕하세요! 부린이찌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부동산에 관심이 있다면 꼭 알아야 할 부동산 세금 상식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부동산 세금은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

boorinezzi.com

 

 1. 취득세 

부동산을 취득할 때 일반 계약인지, 상속/증여받은 경우인지에 따라 국세의 종류가 각각 인지세, 상속세/증여세로 구분됩니다. 또한 이러한 구분에 상관없이 모든 부동산 또는 동산을 취득할 때에는 지방세인 취득세를 과세하게 되며 이와 함께 농어촌특별세(이하 농특세)와 지방교육세(이하 교육세)를 부과하게 됩니다.

 

취득세는 취득한 날로부터 2개월 내 납부하여야 하며, 1주택자의 취득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주택자의 경우 2주택자/3주택자/4주택 이상 으로 주택수에 따라 세율이 다르며, 조정지역인지 비조정지역인지에 따라서도 세율이 상이합니다.

 

 2. 인지세 

부동산을 포함한 모든 재산권에 대하여 소유권을 이전하여 취득하게 될 경우 매매계약서를 작성하고 또 증표로서 증서(등본)를 작성해야 하는데 그때 바로 내야하는 세금이 인지세(쉽게 말하면 증서 도장값)라고 합니다. 인지세는 기재금액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는데요, 주택의 경우 1천만원 이하는 비과세로 세금을 납부하지 않습니다. 1천만원 초과 ~ 3천만원 이하는 2만원, 3천만원 초과 5천만원 이하는 4만원, 5천만원 초과 1억원 이하는 7만원, 1억원 초과 10억원 이하는 15만원, 그리고 10억원 초과는 35만원의 인지세가 부과됩니다.

또한 기한 내 인지세를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붙는데, 가산세도 아래와 같이 미납기간에 따라 금액이 커지므로 미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3. 증여세/상속세 

타인으로부터 부동산을 매매할 때가 아닌 증여, 상속 등으로 소유권이 이전될 때 내야하는 세금이 바로 증여세/상속세입니다. 증여세와 상속세의 차이점은 증여세는 생전 자녀 등에게 재산을 물려줄 때 부과하는 것이고, 상속세는 개인이 사망하여 물려준 유산에 대한 것의 차이입니다. 증여세/상속세 또한 부동산 금액이 커질수록 세율이 높아지는데요(누진세율 구조 적용),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만약 3억원의 부동산을 증여 받았다고 가정해보면, 증여세는 (과세표준 * 세액) - 누진공제액 이므로 (3억원 * 20%) - 1천만원을 적용하여 5천만원이 됩니다.

 

그러나 누구에게 받았는지 관계에 따라 증여세 면제가 적용되기도 하는데요, 한도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당 증여재산 공제 한도액은 10년간 합산금액으로 적용됩니다. 만약 위와 같이 3억원의 부동산을 증여받는 경우에서 증여자가 배우자라면 6억원까지는 공제가 되므로 증여세가 면제가 됩니다.

 

하지만 만약 증여자가 아버지이고 받은 사람이 성인의 자녀라면, 3억원-5천만원을 공제하고 과제금액 2억 5천만원에 대하여 증여세가 부과됩니다. (2.5억 * 20%) - 1천만원 = 4천만원

 

증여세의 경우 증여 시점에서 3개월 이내 자진신고를 하면 3% 세금을 할인해주며, 신고를 하지 않았다면 미신고 가산세가 20%에서 최대 40%까지 부과되게 됩니다. 

 


여기까지 오늘 이시간에는 부동산을 취득할 때 내야하는 세금들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종류가 다양하고 조건에 따라 세율이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모르고 있다가 세금을 중과하여 내지 않도록 잘 알아보고 공부하여 현명한 부동산 투자를 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