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부린이찌입니다.
주변 가족과 지인의 돌맞이 아기에게 복과 재물, 그리고 축복을 의미하는 선물로 금반지와 금열쇠 등 금을 선물하곤 하는데요, 금을 살 때마다 오르락 내리락 하는 금시세가 피부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요즘은 한창 가격이 올라서 한돈 금 선물에도 부담이 되는 금값, 5년 전만 해도 10만원 후반대에 구매했던 것 같은데 최근에는 30만원 넘게 지불하고 구매를 해야 했습니다.
금값은 왜 변동하는 것이며, 앞으로 어떻게 변동될지에 대하여 공부해보도록 합시다.
최근 금 시세는 얼마?
2022년 2월 28일 기준 한국거래소의 국제 금시세에 따르면 금 한 돈의 가격은 27만 6713원이라고 합니다. 금 한 돈은 3.75g으로 g당 금 단가는 7만 3790원입니다. 국내 금시세에 따르면 한 돈을 구매할 때 318,0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전년도 3월 1일 국내 금 시세: 274,000원/한돈)
전년도 2021년 3월 1일 기준 국제 금시세의 금 한 돈 가격은 23만 7,128원으로 전년 대비 약 16.7%가 인상된 가격입니다.
최근 금값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에 있자, 개인적으로 금을 사서 모으거나 금과 관련한 펀드 등 투자상품에 투자하려는 비율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금 투자 펀드의 수익률 또한 금값 상승으로 인해 연초에 비해 6% 가까운 수익을 얻고 있다고 합니다.
금시세라는 것이 그래프를 보면 아시겠지만 항상 일정한 것이 아니라 시기에 따라 크게 떨어질 때도 있고 크게 올라갈 때도 있고 하면서 계속 변동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텐데요, 그럼 금 시세는 무엇에 의해 움직이는 것인지 그 변동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 시세 변동의 요인은?
과거부터 금이라는 것은 안전자산 중에서도 대표로 취급되어 왔습니다. 시장이 불안하면 안전자산인 금을 가지고 있으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이런 금 수요 상승은 금 시세 인상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불확실한 경제 상황이 금의 가격을 상승시킨다
예를 들어 과거의 금융위기, 미중전쟁, 코로나 사태가 있었을 때 바로 금값이 크게 상승했습니다. 또한 최근 심각한 이슈로 떠오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국제사회에 불안감을 크게 조성하며 금 시세를 더욱 치솟게 만드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반대로 시장이 안정될 때에는 상대적으로 금의 수요가 줄어들어 금값이 하락하는데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또한 인플레이션으로 달러 가치가 하락할 때도 금 시세에 영향을 줍니다.
인플레이션으로 물가가 상승하고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 안전자산인 금 수요가 올라가 금값을 올리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반대로 디플레이션과 같이 달러 가치가 상승될 때에는 금에 대한 수요가 줄어 금값이 떨어지게 됩니다.
국가별 금 보유량은?
국가별로 금을 어느정도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예상했던 대로 금 보유량 1위 국가는 바로 8133톤을 보유한 미국이었습니다. 2위는 3359톤을 보유한 독일, 3위는 2452톤을 보유한 프랑스입니다. 대한민국은 현재 104톤을 보유하고 있으며, 금 보유량 순 국가순위는 35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2013년 104톤의 금을 보유한 이후 추가로 금을 매입하지 않고 기존 보유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국가 또한 안전자산으로 인정하는 금을 보유함으로서 불안한 경제상황으로부터 안정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금을 가능한한 많이 보유하고 있을수록 좋겠지요.
금 시세 전망은?
경제 전문가들은 당분간 금값의 강세가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꺼지지 않는 코로나 바이러스와 더불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그리고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불확실한 태도에 따라 금을 사고자 하는 수요자들이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장기적인 상승 추세를 보고 투자를 생각하고 있다면 금 투자에는 가치 상승에 따른 이득은 있지만 이자로 얻는 수익은 없다는 점은 유의하셔야 겠습니다. 더불어 미국 연준이 금리 인상을 확정할 경우 금값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 또한 참고하셔야 겠습니다. (금리 인상 -> 경제 활성화를 막음 -> 디플레이션 -> 금값 하락)
저또한 이번시간에 금에 대하여 공부하면서 조금씩 여유자금이 생길 때마다 안전자산인 금을 모으고 싶다는 생각을 하였는데요, 올바른 투자를 위하여 다음시간에는 금을 어떻게 사야하는지, 꼭 실물로 구매해야 하는 것인지, 금 관련 펀드 투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등 금 투자에 대하여 공부해 보아야 겠습니다.
그럼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뜻과 과거 스태그플레이션 (1970년대 석유파동 사태) 알아보기 (0) | 2022.03.14 |
---|---|
국제 대표 원유 3종(WTI, 브렌트유, 두바이유), 유가 상승 원인 (0) | 2022.03.13 |
세계 최고 부자, 일론 머스크는 어떤 사람인가? (출생, 가정환경, 학창시절, 창업, 기업들) (0) | 2022.02.20 |
ETF(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란? (국내/미국 상위 10개 ETF종목) (0) | 2022.02.18 |
메타버스(Metaverse)란 무엇일까? 뜻, 예시, 문제점, 전망은? (1) | 2022.02.17 |
댓글